역사학26 역사학 - 동학 최제우 1. 역사학 - 동학 최제우 1). 동학 최제우 최제우는 조선인들이 세상의 중심이라 믿어 사대해 왔던 중국이 서방의 영국에게 패한 것에 국제정세가 바뀌고 있는 것을 알았다. 게다가 말기 조선의 여러 사회적 모순을 기존의 지배 이념이었던 유교만으로 헤쳐 나가기 힘들다는 것을 느끼고 있었다. 바야흐로 격동기 조선에서, 구시대의 사대주의적 외래 학문인 유교도 아니고, 한때 융성하였으나 조선 시대에 와서는 숭유억불 정책 속에 쇠퇴한 불교도 아니며, 서방 선교사를 통해 들어와 침략전쟁을 대표했던 그리스도교도 아닌, 새 시대를 위한 개혁과 새로운 학문의 필요성, 한민족 고유의 신앙을 통한 정신적 결집의 필요성을 느꼈다. 이러한 절실함 속에서 지극히 사람 중심의 학문이 만들어졌으며, 이를 서학과 반대되는 학문이라 하.. 2024. 6. 6. 역사학 - 보덕국 1. 역사학 - 보덕국1). 보덕국 신라의 문무왕이 고구려 왕족 안성을 보덕 국왕으로 책봉하고 안성을 따르는 고구려 유민들을 안치시키며 탄생한 나라다. 고려는 한반도 남부의 익산에서 고구려 부흥 운동을 전개했던 국가이다. 신라의 번 속국이었지만 고구려와 동일한 5부와 관등 체계를 갖추고 나당 전쟁에 참전하거나 일본과 견 고려사라는 이름으로 사신을 주고받는 등 나름 활발한 활동을 벌였다. 약 10년간 나라가 지속되다가 안 승이 신라 귀족으로 편입되고 안성의 친족 대문과 실족 등이 일으킨 반란이 신라에 의해 진압되면서 멸망했다. 멸망 후 고구려 귀족과 유민들은 신라의 9주 5소경 중 하나인 남원경으로 이전되었다. 이 과정에서 고구려의 현악기인 거문고가 전래하였다. 668년, 고구려가 신라와 당나라의 연합군에.. 2024. 6. 6. 역사학 - 대한민국 1. 역사학 - 대한민국 1). 대한민국 세계 2차 대전 이후인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했으나, 곧이어 한반도에 미군과 소련군이 남과 북에 각각 진주해 주둔함으로써 군정이 시작되었고, 이 기간에 좌우익 세력 간 대립이 격화되었다. 결국 1948년에 38선 이남에서 총선거가 실시된 후 그해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고,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이 수립되면서 남북이 분단되었다. 1950년 6월 25일에는 한국 전쟁을 거쳐 한반도 이남의 대한민국과 한반도 이북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확실히 나뉘게 되었다. 광복 직후 한반도 내에는 건국준비위원회 등이 치안과 행정권을 담당하여 혼란한 해방정국 상황을 일시적으로 수습하였으나, 9월 미∙소의 한반도 분할 정책과 포고령으로 불.. 2024. 6. 6. 역사학 - 미국과 소련의 중국지원 1. 역사학 - 미국과 소련의 중국지원 1). 미국과 소련의 중국지원 중국 국민당은 이 법을 통하여 필요한 군수물자를 살 수 있는 화폐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미국 의회는 피트먼 법을 통과시켜 중화민국의 은을 미국의 금과 바꾸는 것을 허용했다. 또한, 난징 대학살 이후 1940년 일본 제국이 인도차이나반도를 침략하고 나치 독일-이탈리아와 추축국 동맹을 맺자, 미국 의회에서 대일 수출을 금지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이에 곤경에 빠진 일본 제국은 제재를 가한 미국, 영국, 네덜란드와 중화민국을 묶어 이른바 'ABCD 포위망'이라고 칭하며 일종의 배후처럼 선전하였고, 이들 국가에 대해 맞선다는 구실을 내세워 이후 태평양 전쟁으로 전선을 확대했다. 소련의 지원. 일본군이 화북 지방을 침략하자, 중화민국 정.. 2024. 6. 6.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