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26 역사학 - 시안사건 루거우차오 사건 1. 역사학 - 시안사건 루거우차오 사건 1). 시안사건 상하이의 애국 영수와 모든 정치범을 석방하면 인민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한다. 공산당 토벌 정책을 정지하고 호운과 연합해 항일한다. 각 당, 각파, 각계, 각 군을 망라하는 구국 회의를 소집해 항일 구국의 방침을 결정한다. 중국의 항일에 동정하는 국가와 동맹관계를 수립한다. 섬서성에 들어와 있는 중앙군 부대를 동관에서 철퇴시키는 명령 등 서북의 군정은 장쉐량과 향후 청에 맡긴다. 이 협정은 장제스의 체면을 위해 공식 서명도 공개도 하지 않은 이른바 '인격 담보'의 약속이었다. 장제스는 12월 25일 석방되어 시안을 떠나면서 "약속은 반드시 지킨다."고 언명했다. 장쉐량은 이 사건의 책임을 지고 스스로 군법회의에 회부되겠다면서 장제스와 동행했다. 시안.. 2024. 6. 6. 역사학 - 만주사변 1. 역사학 - 만주사변 1). 만주사변 오랜 기간 동안 국민당 군대의 공격을 피하면서 무려 9,600km라는 장정 끝에 1935년 10월에 섬 서서 옌안에 다다랐을 때, 살아남은 공산군은 약 2만 명뿐이었다. 만주의 근거지를 잃은 동북 군의 실력자 장쉐량은 1936년 1월 말 자신이 경영하는 동북대학생들이 시안에 찾아와 보고하는 내용을 들은 뒤로 항일여론에 적극적으로 호응하는 태도를 보였다. 동북 군 안에서도 '반공보다는 항일'을 주장하는 여론이 거세졌다. 1936년 11월 관동군이 내몽골을 독립시키기 위한 공작의 하나로 수원 사건으로 알려진 몽골인들의 반란이 일어났다. 이때 장쉐량은 수원성을 지키던 중국군을 돕기 위해 자신의 부대를 이동시키는 것을 허가해 줄 것을 장제스에게 요청했다. 그러나 장제스는.. 2024. 6. 6. 역사학 - 중일전쟁 1. 역사학 - 중일전쟁 1). 중일 전쟁 만주사변으로 만주 지역의 대부분을 장악한 일본 제국은 만주국이라는 괴뢰 정부를 세웠다. 이어, 경제 대공황을 극복하고자 '일-만 블록경제' 체제를 구축하고자 하였지만 뚜렷한 성과가 없었다. 한편, 국제연맹은 '만주를 불법 침략, 점령한 일본 제국의 만주 지역 철수'를 결의하자, 일본은 1933년 3월 국제 연맹에서 탈퇴하였다. 국제 연맹이 일본군의 만주 지역 철수를 결의한 이유는 1차 세계대전의 연장인 터키 독립 전쟁에서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가 이끄는 터키 시민군에게 패함으로써 로잔 조약에서 식민지 일부를 포기해야 했기 때문이었다. 서방 국가들은 일본이 식민지 확장에 나서는 것은 일본의 강대국 부상의 지름길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일본이라는 새로운 경.. 2024. 6. 6. 역사학 - 일제강점기 1. 역사학 - 일제강점기 1). 일제강점기 조선에서는 일제의 강제노역으로 이른바 국가 총동원령을 내려, 한국인 노동력이 착취되었고, 학도 지원병, 징병제 등을 실시하여 수많은 젊은이를 전쟁에 동원하였다. 또, 젊은 여성을 정신대라는 이름으로 강제 동원하여 군수 공장 등에서 혹사했으며, 그중 일부는 전선으로 끌고 가 일본군 위안부의 명목 아래 성노예로 삼는 만행을 저질렀다. 30년대의 독립운동의 중심점은 김원봉과 김규식이 주도하는 조선민족혁명당이었다. 이후 김원봉과 김규식, 그리고 민족혁명당 산하의 조선의용대 일부 세력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합류하였다. 한편 침체하였던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독립 활동은 김구를 중심으로 한인 애국단의 활약으로 다시 살아나기 위해 시작했다. 애국단의 일원이었던 이봉창, 윤봉길.. 2024. 6. 5.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