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9

역사학 - 원효대사 1. 역사학 - 원효대사1). 원효대사  '모든 건 자기 마음에 달렸다.'는 해골 물 일화로 유명하며 파계승임에도 불구하고 한국 불교계는 물론이고 한국 고대사ㆍ철학사ㆍ사상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천재이다. 3학년에 능통했으며 신라에서는 원효를 두고 만인 지적이라고 표현했을 정도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난세인 삼국 통일전쟁 시기에 인생의 대부분을 보냈고 통일신라의 탄생을 목격했다. 또한 화쟁 사상을 주창해 불교의 대중화는 물론 통합의 정신을 강조했다. 원래 중국 삼론학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으나 실은 백제 삼론학의 영향을 받았다는 주장이 대두되었다. 근거는 6세기 말에 편찬된 백제의 (대승사론현의기)로 백제 승려 혜균의 생각과 많이 닿았다는 평가가 있다. 삼국통일에는 사상적인 통합이 선행되었고, 원효가.. 2024. 6. 6.
역사학 - 동학 최제우 1. 역사학 - 동학 최제우 1). 동학 최제우 최제우는 조선인들이 세상의 중심이라 믿어 사대해 왔던 중국이 서방의 영국에게 패한 것에 국제정세가 바뀌고 있는 것을 알았다. 게다가 말기 조선의 여러 사회적 모순을 기존의 지배 이념이었던 유교만으로 헤쳐 나가기 힘들다는 것을 느끼고 있었다. 바야흐로 격동기 조선에서, 구시대의 사대주의적 외래 학문인 유교도 아니고, 한때 융성하였으나 조선 시대에 와서는 숭유억불 정책 속에 쇠퇴한 불교도 아니며, 서방 선교사를 통해 들어와 침략전쟁을 대표했던 그리스도교도 아닌, 새 시대를 위한 개혁과 새로운 학문의 필요성, 한민족 고유의 신앙을 통한 정신적 결집의 필요성을 느꼈다. 이러한 절실함 속에서 지극히 사람 중심의 학문이 만들어졌으며, 이를 서학과 반대되는 학문이라 하.. 2024. 6. 6.
역사학 - 보덕국 1. 역사학 - 보덕국1). 보덕국 신라의 문무왕이 고구려 왕족 안성을 보덕 국왕으로 책봉하고 안성을 따르는 고구려 유민들을 안치시키며 탄생한 나라다. 고려는 한반도 남부의 익산에서 고구려 부흥 운동을 전개했던 국가이다. 신라의 번 속국이었지만 고구려와 동일한 5부와 관등 체계를 갖추고 나당 전쟁에 참전하거나 일본과 견 고려사라는 이름으로 사신을 주고받는 등 나름 활발한 활동을 벌였다. 약 10년간 나라가 지속되다가 안 승이 신라 귀족으로 편입되고 안성의 친족 대문과 실족 등이 일으킨 반란이 신라에 의해 진압되면서 멸망했다. 멸망 후 고구려 귀족과 유민들은 신라의 9주 5소경 중 하나인 남원경으로 이전되었다. 이 과정에서 고구려의 현악기인 거문고가 전래하였다. 668년, 고구려가 신라와 당나라의 연합군에.. 2024. 6. 6.
역사학 - 대한민국 1. 역사학 - 대한민국 1). 대한민국 세계 2차 대전 이후인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했으나, 곧이어 한반도에 미군과 소련군이 남과 북에 각각 진주해 주둔함으로써 군정이 시작되었고, 이 기간에 좌우익 세력 간 대립이 격화되었다. 결국 1948년에 38선 이남에서 총선거가 실시된 후 그해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고,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이 수립되면서 남북이 분단되었다. 1950년 6월 25일에는 한국 전쟁을 거쳐 한반도 이남의 대한민국과 한반도 이북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확실히 나뉘게 되었다.  광복 직후 한반도 내에는 건국준비위원회 등이 치안과 행정권을 담당하여 혼란한 해방정국 상황을 일시적으로 수습하였으나, 9월 미∙소의 한반도 분할 정책과 포고령으로 불.. 2024. 6.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