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호프

mz세대 생계비 해결 방안(국가적 지원&지방정부 지원)

by go1700 2025. 8. 12.
반응형

MZ세대의 생계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국가 및 지방정부 차원의 주요 지원 정책을 알아보겠습니다.

정책별 특징과 맥락을 함께 설명해 드립니다.

 

 

① 금융 및 자산 형성을 위한 지원

  • 청년 도약 계좌 (Youth Leap Account)
    19~34세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는 금융상품입니다. 매달 일정 금액을 적립하면 정부가 6% 이자를 보전해주는 방식으로, 2023년 6월부터 2025년 12월까지 운용됩니다.


② 교통·에너지 등 생활비 부담 완화

  • 교통비 지원
    2022년부터 시행된 ‘청년 교통비 지원’으로, 서울 기준 약 15만 명이 매달 약 6,181원 정도의 교통비를 절감할 수 있었습니다.

  • 에너지 비용 경감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전기·가스 요금 할인과 에너지 바우처를 확대하여, 생활 필수 비용 부담을 줄이고자 합니다.


③ 주거 안정 및 주거 비용 지원

  • 신혼·영아 가구 대상 주택 지원
    신생아 자녀를 둔 가정에는 소득 기준을 완화한 저금리 전세자금 대출과 월 20만 원가량의 지원금을 제공하며, 3만 가구 규모의 저렴한 전세 주택도 공급합니다.
  • 주택공급 확대 계획
    향후 2035년까지 도시 지역에 5만 가구 규모의 임대주택을 공급하고, 새로운 장기임대 주택 유형도 10만 가구 이상 도입할 예정입니다.


④ 청년 취업 및 자립 지원

  • 맞춤형 취업 지원
    청년 취업자의 재정 자립과 경력 형성을 위해 수개월간 참여 가능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참여자에게는 최대 300만 원(단기) 또는 3백만 원+인센티브(중장기)까지 지급합니다.

  •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Active Labor Market Policy)
    고용보험 기반의 실직자 지원, 직무교육 제공, 월 1% 수준의 저금리 대출 등을 통해 재취업과 기술 습득을 지원합니다.


⑤ 특수 대상층에 대한 맞춤형 복지

  • 사회적 고립 청년 지원
    극단적 은둔(히키코모리) 상태인 19~24세 청년에게는, 월 약 65만 원 수준의 생계비와 심리·교육·건강 지원 프로그램이 제공됩니다.


요약 테이블

지원 분야주요 정책 내용
금융 자산 형성 청년 도약 계좌(정부 이자 보전)
생활비 절감 교통비 지원, 에너지 할인
주거 안정 신혼·영아 주거 지원, 장기임대주택 확대
취업 지원 교육·훈련 수당, 저금리 대출
고립 청년 지원 생계비 및 심리·교육·건강 지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