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호프

꿀팁! 스토킹 범죄와 관련 법 총정리

by go1700 2025. 8. 25.
반응형

스토킹 범죄와 관련 법 총정리

최근 우리 사회에서 스토킹 범죄는 단순한 괴롭힘을 넘어 심각한 범죄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스토킹은 피해자의 일상과 정신적 안정에 직접적인 위협을 주며, 반복적·지속적 행위로 인해 강력 범죄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사회적 경각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대한민국은 2021년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스토킹처벌법)을 제정하여 대응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스토킹 범죄의 정의, 주요 처벌 규정, 보호 제도, 그리고 향후 과제까지 상세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스토킹 범죄의 정의

1). 법적 정의

(1). 피해자의 의사에 반하여 접근·뒤쫓기·잠복·연락·물건 송부 등 행위를 반복하거나 지속하는 것
(2). 직접 대면뿐 아니라 전화, 문자, 메신저, 온라인 게시물 등 비대면 방식도 포함
(3). 행위가 반복·지속성을 띠어 피해자의 생활 안전과 평온을 해치는 경우 성립

 

2). 구체적 사례

(1). 반복적인 전화·문자·SNS 메시지 발송
(2). 피해자 주거지·직장·학교 주변에서 기다리거나 미행
(3). 원치 않는 선물이나 물품 지속적으로 전달
(4). 온라인에서 지속적인 괴롭힘·사생활 침해


2. 처벌 규정 (스토킹처벌법)

1). 기본 처벌

(1). 스토킹 범죄 행위: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 벌금
(2). 흉기 등 위험한 물건 사용 시: 5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 벌금

 

2). 가중 처벌

(1). 피해자가 미성년자, 장애인, 임산부일 경우 가중
(2). 보호명령 위반 시 별도 형사처벌 대상

 

3). 긴급응급조치

(1). 경찰은 현장에서 가해자에게 접근금지 명령 가능
(2). 피해자 보호를 위한 즉시 분리 조치 가능


3. 피해자 보호 제도

1). 긴급응급조치

(1). 가해자에게 피해자 주거·직장 100m 이내 접근금지
(2). 전화·문자·SNS 등 모든 연락 금지 명령

 

2). 법원의 보호명령

(1). 2개월 범위에서 접근·연락금지 명령 가능, 필요 시 연장
(2). 보호관찰·위치추적 전자장치 부착 명령 가능

 

3). 피해자 지원

(1). 여성긴급전화 1366, 스토킹 전담 경찰관 제도 운영
(2). 쉼터 제공, 심리상담, 법률 지원 연계


 

4. 스토킹 범죄와 형법·특별법 연계

 

1). 형법 적용

(1). 협박·주거침입·모욕·명예훼손·강제추행 등 다른 범죄와 결합 시 형법상 가중처벌 가능

 

2). 개인정보보호법·정보통신망법

(1). 온라인 스토킹의 경우 개인정보 유출, 불법촬영물 배포 등으로 별도 처벌 가능

 

3). 특정범죄가중처벌법

(1). 살인, 상해 등 강력 범죄로 이어질 경우 가중처벌 적용


5. 향후 과제와 논의

1). 현행법 한계

(1). 피해자 신고에 의존 → 실질적 피해 방지 미흡
(2). 보호명령 위반 시 대응 속도가 늦다는 지적
(3). ‘반복성·지속성’ 요건 입증의 어려움

 

2). 보완 필요

(1). 선제적 구속 요건 강화 논의 필요
(2). 디지털 스토킹 대응을 위한 별도 규정 정비
(3). 피해자 지원 체계 확대와 법적 구제 절차 간소화


요약표

     구분                               내용
정의 반복·지속적으로 의사에 반하는 접근·연락·미행 등으로 생활 안전 침해
처벌 기본: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 벌금 / 흉기 사용 시 5년 이하 징역
보호조치 접근금지·연락금지 긴급조치, 법원 보호명령, 전자장치 부착 가능
적용 법률 스토킹처벌법, 형법,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특정범죄가중처벌법
향후 과제 법적 보완(반복성 요건 완화, 디지털 범죄 대응), 피해자 보호 강화 필요

 

스토킹 범죄는 피해자의 일상과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범죄입니다.

단순 괴롭힘 수준으로 여겨졌던 과거와 달리, 현재는 **별도의 특별법(스토킹처벌법)**으로 처벌 근거가 마련되었고, 경찰과 법원은 즉각적인 보호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법 적용의 한계와 피해자 보호 미흡이 지적되는 만큼, 향후에는 디지털 시대에 맞는 대응 강화와 보다 선제적인 제도 보완이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