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호프

한.미 정상회담 특집2. 트럼프 2기 북한 정책 총정리

by go1700 2025. 8. 18.
반응형

트럼프 2기: 북한 정책 총정리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제2기에 들어설 경우, 대북 정책에도 상당한 변화가 예상됩니다. 아래는 주요 동향과 전문가 분석을 기반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실질적인 대화 재개는 요원할 전망

  • 지난 정상회담 이후 의미 있는 외교적 진전 없이, 북한은 미사일 실험과 군사력을 강화하며 미국과의 실질적 대화에 부정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핵‧미사일 능력 확대와 러시아 협력 강화가 눈에 띕니다.
  •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과 재협상을 추진하더라도, 관계 복원보다는 ‘거래’ 중심의 접근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큽니다.

2. 제재 완화 및 군사 연습 중단 가능성

  • 일부 전문가는 트럼프가 일부 비핵 군사적 제재를 완화하고, 한미 연합 군사훈련을 중단하는 대가로 북한과 **작은 협상(small deal)**을 시도할 수 있다고 봅니다.
  • 특히, 제1기 당시 트럼프는 “매우 비용이 많이 든다”며 군사훈련을 자주 비판했고, 이런 유연한 태도가 제2기에도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3. 완전 비핵화보다는 부분적 실리 추구

  • ‘완전 비핵화(denuclearization)’는 비현실적인 목표로, 현실적 접근을 위한 ICBM 단축 및 핵개발 동결 중심의 arms control에 무게가 실릴 수 있습니다.
  • 즉, 비핵화 대신 북한의 핵 위협 조절 중심의 동결형 거래가 정책의 실질적인 방향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4. 북한의 군사력 강화와 강경 대응

  • 북한은 핵무기 생산, 순항미사일 발사, 해상 전략 능력 확충 등 군사적 자립을 강화하고 있으며, 미국에 대한 적대적 반응도 여전합니다.
  • 특히, 북한은 미국과 한국의 군사훈련을 “침략 연습”으로 간주하며, 이에 대한 ‘최강 대응’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한눈에 보는 요약표

항목핵심 내용
대화 가능성 낮음 – 북한은 군사력 강화 및 러시아 협력 강화
협상 방식 Transactional diplomacy – 실리 중심의 작은 거래 중심
제재 및 군사훈련 일부 제재 완화 및 한미 군사연습 축소 가능성
비핵화 목표 완전 비핵화보다 ‘arms control’, 핵개발 동결 중심
북한 대응 군사력 강화 및 강경 반응 지속

맺음말

트럼프의 제2기 대북 정책은 과거와 유사하게 **‘완전 비핵화 → 외교적 정상화’**보다는,
“작은 딜(small deal)”을 중심으로 한 실리 외교가 중심이 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 낮은 대화 가능성강경한 북한 군사 도발,
  • 한미 연합훈련 축소 여론,
  • 제재 완화 타진,
  • 그리고 현실적 실리 외교 추구
    모두 일관된 흐름이라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