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호프

이재명 정부 복지 공약과 현재 진행되는 정책 총정리

by go1700 2025. 8. 16.
반응형

이재명 정부 복지 공약과 현재 진행되는 정책 총정리

 

1. 기본 방향: ‘기본사회’로의 전환

 

이재명 정부는 단순한 복지 확대를 넘어 국민의 삶 전반을 책임지는 ‘기본사회’ 체계를 지향합니다.
출생부터 노후까지 생애주기별 복지를 보장하고, 계층별 맞춤형 지원을 통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2. 주요 복지 공약 (4대 분야)

분야공약 내용
의료 영역 의료사고 국가책임제 강화, 공공의료 인력 확충
돌봄 영역 장기요양·돌봄 사고까지 국가 책임 확대
정신건강 정신건강복지법 개정 → 동료지원센터 설치, 환자 권익 강화
경계성 지능 지원 경계선자립지원권리보장법 제정 → 지원체계 마련
의약품 안정성 약사법 개정 → 필수의약품 지정·수급체계 강화

3. 현재 진행 중인 정책 현황

구분공약 내용진행 현황
의료사고 책임 강화 국가가 의료사고 책임 부담 제도적 기반 마련 중
돌봄 사고 국가책임 돌봄사고도 국가 책임 범위 포함 정책 기틀 설계 중
정신건강 지원 정신건강복지법 개정 국회 발의 완료
경계성 지능 지원 경계선자립지원권리보장법 제정 국회 발의 완료
의약품 안정성 국가필수의약품 지정 법안 발의 및 추진 중
생애주기 복지 보장 기본사회 위원회 설치, 정책 설계 진행 중

4. 의미와 전망

  • 긍정적 효과: 복지 사각지대 해소, 소외계층 권익 강화, 의료·돌봄 안전망 확대
  • 과제: 예산 확보, 법·제도 정착, 실행력 강화
  • 전망: 제도화와 사회적 합의가 뒷받침된다면 국민 체감도가 높은 복지국가로 발전할 가능성이 큼

5. 마무리 요약

이재명 정부는 ‘기본사회’라는 새로운 복지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전 생애에 걸친 맞춤형 복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의료·정신건강·경계성 지능인 지원·의약품 안정화 등 실질적이고 시급한 문제부터 단계적으로 개선해 나가고 있습니다. 법·제도의 안정적인 구축과 위원회 운영을 통한 정책 실행력이 앞으로 관건이 될 것입니다.

 

 

참고사항

🏛️ 이재명 정부 ‘기본사회’ 구상 총정리


1. 기본사회란 무엇인가?

  • 정의: 단순한 복지국가를 넘어, 국민의 삶 전반에서 최소한의 권리와 안전을 국가가 보장하는 사회
  • 비전: “모든 국민이 기본적 삶을 누릴 수 있는 사회”, 즉 출생에서 노후까지 국가 책임 강화
  • 주요 차별점: 기존 복지는 선별적 지원 중심이었다면, 기본사회는 보편적 기본 보장을 핵심으로 삼음

2. 이재명 정부의 기본사회 핵심 정책

이재명 대통령은 ‘기본사회’를 5대 국정 목표 중 하나로 제시하며 다음과 같은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1) 보건·의료

  • 의료사고 국가 책임제 강화
  • 필수의료 공공 인력 확충
  • 필수의약품 지정 및 수급체계 강화

(2) 돌봄·장기요양

  • 노인·장애인 돌봄 국가책임제
  • 돌봄 사고 발생 시 국가가 법적·재정적 책임 부담
  • 장기요양보험 제도의 보완

(3) 정신건강 지원

  • 정신건강복지법 개정: 지역 기반 정신건강 센터, 동료지원센터 설치
  • 환자 권리 강화 및 사회 복귀 지원

(4) 경계성 지능인 지원

  • 경계선자립지원권리보장법 제정 추진
  • 지적장애와 정상 사이의 ‘경계선 지능인’을 위한 사회안전망 구축

(5) 소득·노후 보장

  • 청년·중장년·노년 세대 맞춤형 소득지원 체계 마련
  • 기본소득형 제도 실험 확대 검토

3. 현재 진행 상황

  • 국정기획위에서 ‘기본사회위원회’ 설치를 준비 중
  • 일부 법안(정신건강복지법 개정안, 경계선자립지원권리보장법, 약사법 개정 등) 국회 발의 완료
  • 정책 프레임은 확립 중이며, 구체적 재원·실행 계획은 조율 단계

4. 기대 효과

✅ 복지 사각지대 해소
✅ 의료·돌봄 안전망 강화 → 국민 생활 안정감 상승
✅ 사회적 약자의 권익 보호 강화
✅ 장기적으로 K-복지 모델로 발전 가능


5. 남은 과제

⚠️ 예산 확보: 복지 확대에 따른 막대한 재정 부담
⚠️ 제도 정착: 법안 통과 후 실행력 문제
⚠️ 국민 합의: 증세 여부, 복지 범위 조율 필요


6. 마무리

이재명 정부의 ‘기본사회’ 구상은 한국 사회를 한 단계 더 높은 수준의 보편 복지국가로 도약시키려는 청사진입니다. 다만 정책 성공 여부는 재정 확보, 실행력, 사회적 합의라는 3가지 과제를 얼마나 풀어내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