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호프

꿀팁! 셀트리온 전망 총정리

by go1700 2025. 8. 28.
반응형

셀트리온 전망 총정리 – 전략, 성장 방향, 미국 진출 확대

셀트리온은 바이오시밀러 분야의 글로벌 리더에서, 차세대 항체·ADC·다중특이항체로 이어지는 혁신 신약 개발까지 활발히 전개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미국 내 생산 거점 확보와 기술 고도화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 확대 전략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셀트리온의 핵심 사업 방향, 미국 투자 전략, 신약 파이프라인, 그리고 전반적인 성장 전망을 단계별로 정리해드립니다.

 

1. 전략적 목표 및 미국 진출 강화

 

1). 미국 제조 거점 확보 및 관세 리스크 대응
(1). 셀트리온은 미국 의약품 관세 리스크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 제약 생산시설 인수 우선 협상자 선정되었으며, 7천억 원(약 5억 달러) 투자를 계획 중입니다 
(2). 이 시설은 50% 생산능력을 즉시 CMO 계약을 통해 활용하고, 나머지 50%는 셀트리온 제품 생산에 사용할 예정입니다 .
(3). 현지 생산을 기반으로 관세 문제를 원천적으로 제거하고, 제조 비용과 물류 효율을 대폭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2. 신약 파이프라인 및 개발 전략

 

1). 혁신 항체 신약 확대 전략
(1). 2025년 J.P. Morgan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셀트리온은 2028년까지 신약 13건(ADC 9건, 다중특이항체 4건) IND 제출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2). 주요 ADC 후보 물질은 CT‑P70 (비소세포폐암용), CT‑P71 (방광암용)이며, 저독성·고효능의 PBX-7016을 활용한 차세대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3). 다중특이항체 중 CT‑P72는 종양선택적 활성화 구조로 ‘on-target, off-tumor’ 독성 개선을 목표로 합니다 

 

 

3. 글로벌 매출 및 시장 성장 전망

 

1). 매출 목표와 제품 확대
(1). 2025년 매출 5조 원(약 3.6 억 달러)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 유럽시장에서는 유플라이마(Yuflyma), 베그젤마(Vegzelma) 등 주요 제품이 실적 호조를 보이는 등 시장 확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3). ADC 신약 출시 계획 및 영국 스테키마(Staqyma) 바이오시밀러 허가 등 성과 기반의 성장 기대감도 높습니다 

 

 

 

4. 요약표

항목                           내용
미국 진출 전략 미국 생산시설 인수 예정 → 관세 리스크 제거 및 현지 생산 체제 강화
신약 파이프라인 2028년까지 IND 13건 제출 계획 (ADC 9건, 다중특이항체 4건), 주요 후보 – CT-P70, CT-P71, CT-P72
매출 전망 2025년 매출 5조 원 목표, 유럽 시장 실적 호조 및 영국 제품 허가 확대
경쟁력 요인 관세 리스크 대응, 차세대 항암 신약 개발,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셀트리온은 미국 내 생산 기지 구축과 함께 혁신 신약 개발을 병행하며, 관세 리스크 제거 → 제조 효율화 → 경쟁력 강화라는 전략적 성장 구조를 완성하고 있습니다. ADC 및 다중특이항체를 기반으로 한 파이프라인 확장은, 셀트리온을 글로벌 바이오 산업의 차세대 리더로 향하게 할 강력한 동력이 될 것입니다.

 

반응형